Full reform of the judicial disclosure system is urgently needed
“Everything has to be changed…”
It is the words of a famous entrepreneur. Even at that time, he emphasized the necessity of innovation in the new wave of change. Now that speed has been rapidly added. The wave of innovation is high. It feels like the true New World(' Shincheonji ' in Korean) which is becoming a reality. Digitization has changed everything. The great wave of the transitional period is daunting enough. It makes me dizzy. It seems that existing stereotypes should be thrown away without any regrets. A rearm with new values is necessary. This is because we are moving from human orientation to AI (artificial intelligence)-orientation. Where is the center of this change? Naturally, it is an intellectual property field where advanced technology is concentrated because it is the engine of digitalization. This big wave is not limited to mere technological innovation. It also absorbs existing values and order. It is time for rigorous reevaluation. It imposes an innovative new perspective and philosophy for the new era and its implementation. Mow, it seems to start all over again.
The digital flow leads to paradigm innovation. Let's take an example. Re-definition of justice, principle-orientation, decentralization, public sharing and transparency, globalization, and virtual worlds are noteworthy. A new definition of social justice requires a more approach to essential parts of matters. It rejects even the slightest injustice involvement. It also emphasizes the authenticity of the process. They are angry at the 'abstract justice' which will be a fake, the inside of which is different from the outside. The trade practice of NFT, a hot topic, suggests many things to us. Whenever an NFT is sold, the original creator receives a certain amount of commission. This is compared to the sale of traditional art.
Gogh was only able to sell one work in his lifetime. Even the price was outrageously low. No one can deny that he is a great painter. But his life was miserable. After his death, on the other hand, was it different. The price of his works soared astronomically. Nevertheless, he or his rightful heir (?) was excluded from the benefits. The absurdity of reality shows itself. Excessive accumulation of wealth by traders and collectors in contrast to the tragic sacrifice of the original artist! How to deal with this phenomenon? Also, the 'Cloud Bread( 구름빵 )' incident in Korea seems to fall into one of these absurd categories.
Nevertheless, this absurdity has been neglected. Of course, there have been some attempts to correct this. Examples are the 'loyalty right ' and the so-called 'contract termination clause' in some countries. But the majority were simply indifferent. Further, it is difficult to find a sense of criticism or guilt. The digital era does not tolerate this anymore. It is because such an absurdity is clearly highlighted.
This i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openness, sharing, and transparency. It is difficult to deny that there is a distorted injustice in the existing art trading practice. Attempts to correct this are now starting. This is because a certain portion of the sales revenue is considered to be the share of the original author (his legal successor). This is a new wave for a new order. The wave must be enormous. Because it means a return to the lost 'true justice'. This wave will accelerate further. Everyone has to pay attention to this. This is the point where the real awakening of the so-called 'guardians of justice' is required.
In addition, digitalization is inevitably centered on substance and essence. No intermediate steps are required. A substantial number of Brokers have to exist no more. This is because a transparent platform replaces it. There are bilateral producers and consumers. Each role is not limited. This is because they are both consumers and producers or service providers as well at the same tim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in the eye of conventional stereotypes. This scalability develops into transparency and globalization. Furthermore, it calls for fundamental innovation in politics as well. it appears that contemporary politics will be implemented at the level of direct democracy. This is thanks to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that has been added to the agency's anger over the serious customer conduction phenomenon.
In particular, it made the existing social system be fundamentally re-examined. This is largely thanks to innovative technologies such as blockchain. The reliability system centered on a certain minority establishment is now in the stage of restructuring. It was because everyone was tired of the monopoly and the privileges and evils it entailed. Accordingly, it is being replaced by a number of shared, and decentralized systems. This makes a huge impact. There is even the possibility of completely disrupting the existing order. It leads to the dissolution of the elite cartel centered on the establishment. Furthermo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will develop into the realization of true democracy. In this process, the greatness of collective intelligence is realized once again.
The establishment of an open sharing system is also characteristic. This leads to improved transparency in society as a whole. This inevitably leads to a 'true just society'. It also draws attention to the blind spots of the law. Naturally, the absurdity centered on some establishments will inevitably disappear. The barriers of place and time are also broken down. Accordingly, the distinction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is eliminated. The world is one world. It has become an integrated market. The wave of this scalability is huge. It is a state of development that leads to the emergence of an extremely new Creator (?). It is due to technological innovation that enables the realization of ideas. A new idea means the emergence of a new world.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the virtual world (Metaverse) is further accelerated. Eve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virtual world and the real world becomes difficult. mutual coexistence or merger. It is no longer a different world like dreams and reality. It is true that both are entities that are closely intertwined with each other. You have to accept that both worlds are truly real. There is an even more surprising fact. It is a fact that the virtual world is gradually becoming the real world.
How will we adapt to this reality? It's confusing, but the solution to this isn't so difficult. Let's re-verify everything that has already been done without bias. Let's rearrange ourselves with new values and embrace the new world without prejudice. Arming yourself with a new weapon is a natural prerequisite. It is clear that intellectual property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tools and weapons. The urgent part is to digitize the existing offline business. And let's prepare for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t is necessary to think, act, and build a system accordingly.
In this context, fostering the intellectual property industry at the national level is important and urgent. Re-verification of policies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in the past is also inevitab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the policies and government organizations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Let's take an example. The current control tower, the National Intellectual Property Commission, is absolutely not enough. It is a cluster of problems such as lack of personnel, insufficient enforcement, and feedback systems. It is clearly a top priority for the new government.
There are important issues that should not be overlooked in this process. This is none other than the produc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big data. Because big data is everything. What is urgent right now is the role of the pan-government level. A lot of big data is not being used properly. Now, the role of the government should be focused on the creation, disclosure, sharing, utilization, and management of big data, which artificial intelligence put the first priority on, which is the nourish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is like oil excavation. This is because it is directly related to the competitiveness of related industries. Let's take an example. The backwardness of the legal tech industry in the judicial field is due to the lack of relevant big data. This is because big data is a measure of the industry's competitiveness. Accordingly, it is urgent to disclose and share law-related big data. However, the perception of conservative courts is absolutely insufficient. Even now, we need to completely reform the judicial data disclosure system for judgments, etc. This is the most urgent task for the enhancement of judicial culture.
Now, human thinking also needs to be changed to be AI-friendly. In the future, direct and indirect interaction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be more emphasized than human contact. In this process, we will have to move away from a relationship-oriented society and move forward to a principle-based and essence-centered creative society.
Now, it is the time for Korea to take off as a key leader among developed countries. And now is the optimal time for infinite possibilities and opportunities since the Iron Age. Let's throw away all the old stuff. Shall we rearrange ourselves with new ideas that fit this. Let's put it into action without any hesitation.
사법 공개시스템 전면개혁 시급하다
"모든 것을 바꿔야 한다. ……" 어느 유명 기업가의 말이 생각난다. 그 당시에도 새로운 변화의 물결에서 혁신의 필요성을 강조한 말이다. 지금은 그 가속도가 더해졌다. 그만큼 혁신의 파고가 높다. 명실상부한 신천지가 현실화되는 느낌이다. 디지털화 등은 그 모든 것을 바꾸었다. 과도기의 큰 물결은 벅찰 정도로 만만찮다. 현기증이 날 정도다. 기존 고정관념을 미련없이 버려야 할 모양이다. 새로운 가치관으로의 재무장이 필요하다. 인간 중심에서 AI(인공지능) 중심으로 나아가기 때문이다. 이런 변화의 중심은 어디에 있을까? 당연히 고도의 기술이 집중된 지식재산 분야다.디지털화의 엔진이기 때문이다. 이런 큰 물결은 단순한 기술혁신에만 그치지 않는다. 기존 가치와 질서까지도 빨아들인다. 엄격한 검증의 시간이다. 새시대에 맞는 혁신된 새로운 시각과 철학 그리고 이의 실행을 강요한다. 그야말로 모든 것을 새롭게 시작해야 할 모양이다
디지털 흐름은 패러다임의 혁신으로 이어진다. 예를 들어 보자. 새로운 정의 재정립, 본질친화성, 분권화, 공개 공유 및 투명성, 글로벌화, 가상세계로의 대체 등이 눈에 띈다. 새로운 정의 재정립은 좀더 본질로의 접근을 요구한다. 사소한 불공정도 거부한다. 공정의 진정성을 강조한다. 겉과 속이 다른 '추상적 공정'에 분노한다. 화두인 NFT 거래는 많은 것을 시사한다. NFT가 판매될 때마다 최초 원작자는 일정 부분의 수수료를 받는다. 이는 전통적인 미술품의 판매와 비교된다
고호는 생애에 단 1개의 작품만을 팔 수 있었다. 그마저 가격은 터무니 없었다. 그가 위대한 화가임은 그 누구도 부정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그의 삶은 비참했다. 반면 사후는 달랐다. 그의 작품 가격은 천문학적으로 치솟았다. 그럼에도 그나 그의 정당한 상속자(?)는 그 혜택으로부터 소외됐다. 현실의 부조리가 그대로 와 닿는다. 예술가의 비참한 희생에 대비되는 매매상과 수집상의 지나친 부의 축척! 이런 현상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 또한 한국에서의 '구름빵' 사건 역시 이런 불합리한 범주에 해당돼 보인다.
그럼에도 이런 불합리는 그냥 방치되어 왔다. 물론 이를 시정하려는 일부의 시도는 있었다. 일부 국가의 '추급권'과 소위 '계약해지조항' 등이 그 예이다. 그러나 대다수는 그냥 무관심할 뿐이었다. 이러니 달리 비판의식이나 죄의식은 찾아 보기 어렵다. 디지털 시대는 이를 용납하지 않는다. 그런 부조리가 선명히 부각되기 때문이다.
이는 디지털의 특성인 공개,공유 및 투명성에 기인한다. 기존의 미술품 거래에 왜곡된 정의가 있음은 부인하기 어렵다. 이를 시정하려는 시도가 이제 시동을 걸고 있다. 그 판매수익의 일정 부분은 원작자(그의 적법한 승계인)의 몫으로 보기 때문이다. 이는 새로운 질서를 위한 새 물결이다. 그 파장은 엄청날 수 밖에 없다. 잃어버린 '진정한 정의'로의 회귀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런 물결은 더 가속화될 것이다. 모두가 이에 주목할 수밖에 없다. 소위 '정의의 수호자'들의 진정한 각성이 요구되는 대목이다.
또한 디지털화는 실체와 본질 중심이 필연이다. 중간 과정이 불필요하다. 브로커 존재 이유가 없어진다. 투명한 플랫폼이 이를 대체하기 때문이다. 쌍방향의 생산자와 소비자가 있을 뿐이다. 각자의 역할도 제한이 없다. 소비자이면서도 동시에 생산자 내지 서비스 제공자이기 때문이다. 기존의 고정관념으로는 이해하기 어렵다. 이런 확장성은 투명성, 글로벌화로 발전한다. 나아가 정치에서도 근본적인 혁신을 요구한다. 어쩌면 직접민주주의 수준의 정치도 가능해 보인다. 그간 대리인의 심각한 주객전도 현상에 대한 분노에 가세한 기술혁신 덕분이다.
특히 기존의 사회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조명하게 만들었다. 이는 블록체인 등의 혁신 기술에 힘입은 바 크다. 특정 소수 기득권층 중심의 신뢰성 시스템은 이제 재구성단계에 와있다. 독점과 이에 따른 특혜와 폐단에 모두가 질렸기 때문이다. 이에 다수의 공유·비집중화·분권화시스템으로 대체되고 있다. 이는 엄청난 파장을 일으킨다. 기존의 질서를 완전히 붕괴시킬 가능성마저 보인다. 기득권층 중심의 엘리트 카르텔의 해체로 이어진다. 나아가 진정한 민주주의의 구현으로 발전할 가능성도 있다. 이 과정에서 집단지성의 위대함을 다시 한 번 실감하게 된다.
공개 공유시스템의 구축 역시 특징적이다. 사회 전반의 투명성 제고로 이어진다. 이는 필연적으로 '진정한 정의사회'를 지향하게 된다. 또한 법의 사각지대에도 주목하게 된다. 자연스레 일부 기득권층 중심의 부조리 역시 사라질 수 밖에 없다. 장소와 시간의 장벽도 허물어진다. 이에 따라서 국내와 국외의 구분이 없어진다. 세계가 하나의 세상이다. 하나의 통합시장이 된 것이다. 이런 확장성의 파장은 크다. 극단적으로 새로운 조물주(?)의 출현으로까지 발전하는 모습이다. 아이디어의 현실 구현이 가능한 기술 혁신에 기인한다. 새로운 아이디어는 곧 새로운 세상의 출현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가상세계(Metaverse)의 중요성이 더욱 더 가속화된다. 심지어 가상세계와 현실세계와의 구분이 어려워진다. 상호 병존 내지 합병으로 나아간다. 더 이상 꿈과 현실과 같은 다른 세계가 아니다. 서로 긴밀하게 결합된 실체이다. 두 개의 세상 모두를 현실임을 받아들여야 한다. 더 놀라운 사실이 있다. 점차 가상세계가 더 현실세상화 된다는 사실이다.
이런 현실에 과연 어떻게 적응할 것인가? 혼란스럽지만 이의 해결책은 그리 어렵지 않다. 기존의 모든 것을 편견없이 재검증하자. 새로운 가치관으로 재무장하자.그리고 새 세상을 편견없이 받아들이자. 새로운 무기로 재무장하는 것은 당연한 전제조건이다. 지식재산이 그중 대표적인 무기중의 하나임에 분명하다. 당장 급한 부분은 기존의 오프라인 비즈니스를 디지털화하는 것이다. 그리고 인공지능 중심의 시대에 대비하자. 그에 맞게 생각하고 행동하고 나아가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런 맥락에서범국가적 차원의 지식재산 산업의 육성은 중요하고도 시급하다. 그간의 지식재산 관련 정책의 재검증 역시 필연적이다. 이에 지식재산 관련 정책과 정부조직을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 비근한 예를 들어보자. 현재 컨트롤 타워인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조직만으로는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비상설성, 집행과 피드백 시스템의 미흡 등 산적한 문제다. 새 정부의 최우선 과제임이 분명하다.
이 과정에서 간과해서는 안 될 중요 과제가 있다. 이는 다름아닌 빅데이터의 생산, 관리 및 활용이다. 빅데이터야 말로 그 모든 것이기 때문이다. 당장 급한 것은 범정부 차원의 역할이다. 많은 빅데이터가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사장되고 있다. 이제 정부의 역할은 인공지능의 자양분인 빅데이터 중요성의 인식하에 이의 창출·공개·공유·활용 및 관리에 집중되어야 한다.
이는 곧 석유 발굴과도 같다. 관련 산업의 경쟁력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보자. 사법 분야의 리걸테크산업의 후진성은 빅데이터의 부족에 기인한다. 빅데이터야말로 해당 산업 경쟁력의 척도이기 때문이다. 이에 사법 관련 빅데이터의 공개와 공유가 시급하다. 그런데 보수적 법원의 인식이 절대적으로 미흡하다. 지금이라도 당장 판결문 등의 공개시스템을 전면적으로 개혁해야 한다. 사법선진문화를 위한 가장 시급한 과제가 이것이다.
이제 인간의 사고도 인공지능 친화적으로 바뀔 필요가 있다. 미래는 인간과의 접촉보다 인공지능과의 직·간접적 교류가 더 강조될 것이다. 이 과정에서 관계 중심사회에서 벗어나 원칙과 본질 중심 창조사회로 나아가야 하고 나아갈 것이다.
이제 한국이 선진국 중에서도 그 핵심 리딩 국가로 도약할 시점이다. 그리고 지금은 철기시대 이래로 그야말로 무한한 가능성과 기회의 최적 시점이다. 이에 모든 낡은 것을 던져버리자. 이에 맞는 새로운 생각으로 재무장하자. 나아가 이를 행동으로 과감하게 실행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