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dicial republic.
Ironically, today's social conflicts and disputes all go to justice. There are even signs of juridicalism. It reflects that the importance of the law is increasing. As a result, legal experts are naturally attracting attention. This election demonstrates this well. Legal experts occupy the center. How should we view this phenomenon? The majority are positive. It come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rule of law in society. There will be definitely a positive side.
On the other hand, some regrets remain. This comes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judicial prudence . This is because maintaining the 'existing' order is the key. Therefore, it is necessarily past-oriented. The world is completely changing. The times demand a future orient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e more future-oriented. Before that, let's review the reality of the current judicial system. Is it really responding to new paradigms such as big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block chain, and open innovation, etc.?
The conclusion will be that fundamental reform is required. Above all, the basic paradigm must be changed. Judicial function is no longer the prerogative of a few aristocrats. It is necessary to restore judicial consumer sovereignty. Law enforcement officers are merely an agent for the judicial consumer. 'Re-establishment of self-identity as a sovereign' is the key. Therefore, representatives in the judicial field should be 'servants', not 'rulers'. Establishing one's identity as a public service provider is the key. The widespread judicial-convennient orientation must be resolved.
A typical example of this can be found in the judgment text. The omission of the reasons for judgment in a civil small claims case is a prime example. It is also the practice of writing criminal judgments that are somewhat difficult to understand. Both are extremes of agency-centered judicial convenience. Its harm is serious. Perhaps even the reason for the existence of the judiciary is questionable. Because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a trial will be put into the excessive discretion of the judge. The fact that the seriousness of this is not properly recognized will be a bigger problem.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this problem. To restore self-identity. Then, the next one is relatively easy. There should be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new judges who have established a new self-identity.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law school system, the number of good candidates for judges is overflowing. In reality,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judges does not appear to be a major problem. Only budget measures are needed. Also, an AI judge (assistant) can be an alternative. Then this question will come out: what is the reason for letting it go without fixing it?
It is said that there is a joke that is circulated in prison. There are two prosecutors in a criminal court. So where are the judges? Of course, this is hard to believe. Of course it was exaggerated. Nevertheless, this illustrate something. There are practical practices that are difficult to completely rule out such ridiculous allegations. Look at the criminal judgment. Apparently, it is surprising. An acquittal is a lengthy thesis.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conviction sentence is just a memo. How would you explain this?
Prosecutors are only a kind of plaintiff (national) representative in criminal proceedings. In a civil procedure analogy, the prosecutor is the plaintiff's agent and the defendant is the defendant. The court must not discriminate against the plaintiff and the defendant. At least under the current party principle. However, the court's attitude is a bit odd. The judgment of acquittal against the plaintiff's representative is explained in great detail. On the other hand, a fatal conviction for the defendant (individual) explains this at the level of a brief memo. How can we accept this? Judgments are for judicial consumers. Prosecutors and defendants are both judicial parties (consumers). If so, it is normal to treat them fairly. However, the current practice of writing judgments is the opposite. It feels biased toward a prosecutor who is a public authority rather than a defendant who is in a relatively weak position. In the case of a conviction, the disadvantage to the accused is serious. Then, it is quite natural that a sufficient explanation is needed in the case of rendering a conviction. Only then the defendants accept it or disapprove it. In case of dissatisfaction, the error can be pointed out by referring to the reason statement. In some cases, they may be able to correct this. However, it is difficult if the reasons are insufficient. In extreme cases, there is a risk of infringing on the defense right of the accused. This is a serious problem. Nevertheless, it is simply surprising that these practices are still being followed.
Nearly memo-level convictions are difficult to understand. Could this be the extreme of judicial expediency/or judicial convenience? This certainly raises doubts about the judge's foreknowledge/prejudice. Once a case has been prosecuted, is it actually presumed guilty? Who can properly refute this claim? We need a convincing answer to this. In a conviction sentence that punishes the accused, inevitably, the detailed reasoning is necessary. This is in line with the law. Beyond the law, this is quite common sense. Nevertheless, what does the current practice of writing judgments by the judiciary, which must obey the rules of law, say? The bigger problem is the fact that no one has a ny response on this big problem with this. It is difficult to find scholars who criticize these practices. This part is even more surprising. In the blockchain era of decentralization, it is truly surprising. Why are the elites of the judiciary and scholars in the field of law silent on this? Is this feeling of a shock just my special feeling? Where is the law for the people? What is judicial trust in this reality? Is there really no judgment that was made without properly looking at the relevant criminal litigation records? Statistical figures clearly show the realistic situation in which it is difficult to read the records properly. If so, how will this chronic error or illegal (?) be corrected? Can the resolution of this be left to the judiciary alone?
In a criminal case, if there is no proof of the facts of the charges to the extent that there is no reasonable doubt, a judgment of "not guilty" shall be rendered. This is a very common criminal legal principle. But are the courts really following these rules? The verdict of acquittal by the entire jury clearly shows that there are reasonable doubts in proving the charges from the point of view of laymen and on a common sense. Nevertheless, where does the courage (?) come from the judge's decision to convict even when the entire jury agreed on the verdict of " not guilty"? Does this conform to criminal law? Can we just ignore these practices? Let's look at the impeachment of judges, etc. If it is the judge's fault, is it really a matter of neglect?
Appropriate checks and controls on the powers of judges are necessary. First,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recognition of facts and the application of the law. Of course, in the case of judges, they have expertise in interpreting and applying laws. However, there may be questions about the acknowledgment of the facts. To be honest, more professionalism and appropriateness are needed. Collective intelligence may be an alternative. Here, the necessity of 'open innovation in the judicial field' is raised. Wouldn't it be a realistic alternative to admit the facts by a large number of juries rather than a few judges? In addition, objective guarantees about the adequacy of judges are required in the application of laws and regulations. For this purpose,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disclose the judgment. This inevitably leads to the sharing of judgments, objective evaluation, and, as a result of it, guarantee of adequacy. This is the 'legal blockchain'. Decentr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Paradigm innovation itself. Another open innovation. In fact, the disclosure of the judgment is also a matter for the judges to actively advocate for themselves. This is because they can prove the adequacy of their judgment by themselves.
Disclosure of the judgment is the most urgent pending task. Excuses such as protection of the right to privacy seem less convincing. Court documents are not the property of the court alone. This is a public document. Therefore, disclosure and sharing are essential. The Anglo-American Public Document Theory should be introduced. Nevertheless, the present reality of neglecting this is simply deplorable. In order to respond to the criticism of elite cartel, the total opening of all the court judgments may be the solution.
Furthermore, it is the most important topic in the era of big data. Only when such data is disclosed can the adequacy of the overall judicial process be verified and guaranteed. Furthermore, it becomes an important data for setting appropriate sentencing standards. It will also upgrade the judicial culture to the higher level. Judicial data is a public shared asset. All data must be disclosed through API, etc. Disclosure and sharing will determine the future of judicial development. This leads to digitalization and advancement of the judicial field. Furthermore, it is clear that it is the cornerstone of securing global competitiveness in the judicial system. It seems that a serious discussion about this is necessary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process. Through this, we expect a new paradigm innovation in the judicial field that responds to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사법공화국. 아이러니컬하게도 작금의 사회갈등과 분쟁은 모두 사법으로 향한다. 재판만능주의의 조짐마저 보인다. 그만큼 사법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법률전문가가 주목받는 양상이다. 이번 대선이 이를 잘 보여준다. 이들이 그 중심을 차지한다. 이런 현상을 어떻게 봐야 할까? 대다수는 긍정적이다. 법치주의 구현 등의 관점에서 비롯된다. 긍정적인 면이 분명 있다.
반면 다소의 아쉬움도 남는다.이는 사법의 본질에서 비롯된다. '기존'의 질서유지가 그 핵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연적으로 과거지향적이다. 세상은 완전히 바뀌고 있다. 시대는 미래지향을 요구한다. 그렇기에 좀 더 미래지향성이 보완될 필요가 있다. 이에 앞서 현행 사법의 현실을 재점검해 보자. 빅데이터,인공지능, 블록체인 그리고 오픈 이노베이션등 새로운 패러다임에 과연 제대로 부응하는 것일까?
근본적 개혁이 요구된다. 무엇보다도 기본 패러다임부터 바뀌어야 한다. 사법은 더 이상 소수 귀족들의 전유물이 아니다. 사법소비자주권의 회복이 필요하다. 사법관계자는 그저 대리인일 뿐이다. '군림당하는 사법소비자'가 아니라 '주권자로서의 자기정체성의 재정립'이 관건이다. 따라서 사법분야의 대리인은 '군림자'가 아니라 '봉사자'여야 한다. 공공서비스 제공자로서의 자기정체성의 확립이 핵심이다. 만연한 사법편의주의는 해소돼야 한다.
그 대표적인 예는 판결문에서 찾아볼 수 있다. 민사 소액사건의 판결이유기재 생략이 그 단적인 예다. 또한 다소 이해하기 어려운 형사판결문 작성실무다. 둘 다 대리인중심의 사법편의주의의 극단이다. 이의 폐해는 심각하다. 어쩌면 사법부의 존재이유마저 의심하게 할 정도이다. 그저 원님재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의 심각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현실이 더 큰 문제다. 이의 해결을 위해서는 인식의 재정립이 필수다. 그 다음은 상대적으로 수월하다. 새로운 자기정체성을 정립한 신규법관의 대폭 증원이다. 로스쿨 도입으로 법관후보자는 넘친다. 현실적으로 법관증원은 크게 문제가 없어 보인다. 예산조치 등만이 필요할 뿐이다. 또한 AI법관(보조자)도 나름의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럼에도 이를 방치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교도소에서 회자되는 우스개소리가 있다고 한다. 형사법정에는 검사가 2명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법관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물론 이 말은 믿기 어렵다. 당연히 과장되었다. 그럼에도 이는 나름 시사하는 바가 없지 않다. 그런데 이를 전적으로 배제하기 어려운 실무 관행이 있다. 형사판결문을 보자. 놀랍다. 무죄판결문은 장황한 논문이다. 유죄판결문은 단순 메모수준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를 과연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검사는 형사절차에서 일종의 원고(국민) 대리인일 뿐이다. 민사절차로 비유하면 검사는 원고 대리인이고 피고인은 피고인 셈이다. 법원은 원고와 피고에 대하여 차별을 해서는 안 된다. 적어도 현행 당사자주의 원칙에서는 그러하다. 그런데 법원의 태도가 좀 의아하다. 원고대리인에게 불리한 무죄 판결은 아주 상세하게 설명한다. 반면 피고(인)에게 치명적인 유죄판결은 이를 간략한 메모수준으로 설명한다. 이를 어떻게 받아들일 수 있을까. 판결문은 사법소비자를 위한 것이다. 검사도 피고인도 모두 사법당사자(소비자)다. 그렇다면 공평하게 취급하는 것이 정상이다. 그러나 현행 판결문작성 실무는 그 반대다. 상대적으로 열악한 위치에 있는 피고인보다 공권력자인 검사로 편향된 느낌이다. 유죄판결의 경우에 피고인이 입을 불이익은 심각하다. 그렇다면 유죄판결의 경우에 충분한 설명이 필요함은 너무나 당연하다. 그래야 이를 받아들이거나 불복할 수 있다. 불복 시 이유기재를 참조하여 그 잘못을 지적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를 바로 잡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유 기재가 미흡하면 곤란하다. 극단적으로는 피고인의 방어권을 침해할 우려가 있다. 이는 심각한 문제다. 그럼에도 이런 실무관행이 아직도 그대로 답습되고 있다니 그저 놀라울 따름이다.
거의 메모수준의 유죄판결은 이해하기 어렵다. 사법편의주의의 극단이 아닐까? 이는 분명 법관의 예단마저 의심할 정도다. 일단 공소제기된 사건은 사실상 유죄가 추정되는 것일까? 이런 주장에 대하여 누가 이를 제대로 반박할 수 있을까? 이에 대한 설득력 있는 답변이 필요하다. 피고인에 대해 처벌을 내리는 유죄판결문은 필연적으로 자세한 이유기재가 생명이다. 이야말로 법원칙에 부합한다. 이는 법을 떠나 상식적으로도 너무나 당연하다. 그럼에도 법원칙을 지켜야 할 사법부의 현행 판결문 작성실무는무엇을 시사하는 것일까? 더 큰 문제는 이에 대하여 그 어느 누구도큰 문제제기가 없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실무관행을 비판하는 학자도 찾기 어렵다. 이 부분이 더 놀랍다.탈분권화의 블록체인시대에 실로 의아할 따름이다. 사법부 엘리트나 법학분야의 학자들은 왜 이부분에 침묵하는 것일까. 이런 의구심은 단지 필자만의 특별한 느낌일까? 국민을 위한 사법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이런 현실에서 사법신뢰는? 행여 기록도 제대로 보지 못하고 내린 판결은 과연 없는 것일까. 통계수치는 기록을 제대로 읽기 어려운 현실적 상황을극명하게 보여준다. 그렇다면 이런 만성적인 잘못 아니 위법(?)은 어떻게 교정될 것인가. 이의 해결을 사법부 내부에만 맡길 수 있을까.
형사사건에서 합리적 의심이 없을 정도로의 공소사실의 입증이 없으면 무죄의 판결을 내려야 한다. 이는 너무나 당연한 형사법 원칙이다. 그런데 과연 법원은 이런 법원칙을 제대로 지켜 내고 있는 것일까? 배심원 전원의 무죄평결은 상식인의 시각에서 공소사실의 입증에서 합리적 의문이 있음을 분명 보여준다. 그럼에도 배심원 전원 무죄평결에도 법관이 유죄판결을 내리는 용단(?)은 어디에서 나오는 것일까. 이는 형사법원칙에 부합할까? 이러한 관행을 그냥 방관할 수 있을까? 법관의 탄핵 등에 대하여도 살펴보자. 법관의 잘못이 있다면 이는 과연 그냥 방치될 사안일까?
법관의 권한에 대한 적정한 견제와 통제가 필요하다. 먼저 사실인정과 법리적용을 분리할 필요가 있다. 물론 법관의 경우 법령해석과 적용 등에서는 전문성이 있다. 그러나 사실인정에 있어서는 의문이 있을 수 있다. 솔직하게 말하면 좀더 전문성과 적정성이 필요하다. 집단지성이 대안일 수 있다. 이 대목에서 '사법분야에서의 오픈 이노베이션'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소수 법관보다는 다수의 배심원단에 의한 사실인정이 현실적 대안이 아닐까? 또한 법령적용 등에 있어서도 법관의 그 적정성에 대한 객관적 담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서는 판결문의 공개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는 판결에 대한 공유, 객관적 평가와 이에 따른 적정성 담보로 이어지게 마련이다. 이야말로 '사법의 블록체인'이다. 탈집중화와 분산이다. 패러다임의 혁신 그 자체다. 또 다른 오픈 이노베이션이다. 사실 판결문 공개는 법관 스스로가 오히려 적극적으로 주창할 문제이기도 하다. 이를 통해 자신의 판결에 대한 적정성을 스스로 증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판결문의 공개는 가장 선결되어야 할 시급한 현안 과제다. 프라이버시권 보호 등등의 변명은 설득력이 약해 보인다. 법원의 문서는 법원만의 소유물이 아니다. 이는 공공문서이다. 따라서 공개·공유는 필수다. 영미의 공개문서이론(Public Document Theory)이 도입돼야 한다. 그럼에도 이를 방관하는 작금의 현실은 그저 개탄스럽기만 하다. 엘리트 카르텔 등비판에 대응하기 위하여서도 판결문 공개야 말로 그 해결책일 수 있다.
나아가 빅데이터 시대에 가장 중요한 화두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데이터가 공개되어야 사법절차전반의 적정성을 검증·담보할 수 있다. 나아가 적정한 양형기준 등을 설정하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또한 이는 사법문화를 한단계 업그레이드시킬 것이다. 사법 데이터는 공공의 공유자산이다. API 등을 통해 모든 자료가 공개돼야 한다. 이의 공개·공유야 말로 사법발전의 미래를 좌우할 것이다. 이는 곧 사법분야의 디지털화와 선진화로 연결된다. 나아가 사법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의 초석임이 분명하다. 대선 정국에서 이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이를 통해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부응하는 사법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 혁신을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