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340 Global Project: An agent with an armband pretends to be the owner?

글 | 김승열 기자 2022-02-04 / 00:01

  • 기사목록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An agent with an armband pretends to be the owner?


"Be a chicken head rather than a dragon tail." 

It's a story we have heard a lot about. It has a lot of positive meaning. That'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active action. This is also the driving force of Korea's development that has surprised the world so far. 


On the other hand, it implies other meaning as well. Perhaps this shows Korean's unique preference for the title? It raise some questions. Why do Korean people prefer the title so much ? This is because of the desire for the power. Obviously, the joy of serving and contributing will be great. On the other hand, the greed for titles on the other hand is also excessive. The latter is somewhat risky, as it can develop into a concentrated power. In addition, the desire to maintain the privileged class can be added. He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 of corruption in Korea are revealed. It is classified as an elite cartel.


Now the paradigm is changing. Everything is open and shared. The hidden blind spots of the past have no place to be sustained. Naturally, we move on to a new order. Not a minority-oriented socity, but a true majority-centered society... . Decentralization will be big trends. At the same time, blockchain provides the foundation for it. Above all, the agency system is a hot topic. Administrative, legislative and judicial fields all are applied. The preposterous status is serious. Authority needs to be re-examined.


Let's look at the parliament first. It is truly a battlefield just for the interests of the political group. It appears that they don't even care for the people. Short-term and temporary oriented legislation is also a problem. It is full of problems such as unsystematicity, unprofessionalism, and lack of a macroscopic view. Its side-effect will be entirely transferred to the hands of the sovereign. The mere theoretical public administration and convenienceism are also chronic problems. Furthermore, the bureaucracy and judicial convenienceism of the judicial system are more serious. It will be result from the loss of one's own identity. Serving as public servant will be the key. But the reality appears to be different. They look like more power-oriented. Its outcome will be negative. This will eventually result into the prevalence of abnormalities throughout society.


Public officials who are representatives must change. They no longer an armband-packed preference group. Let's take an example. The gates of government agencies should be open to the public. But the reality is different. In the extreme, it seems that the front door belongs to public officials and the back door belongs to the layman. This situation is unacceptable. Actions and customs govern thoughts and minds. Where is the figure of a real public servant?


In the public sector, official oriented phenomena are still prevalent. Take a look at the recently launched Open Dart site of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It is a desirable attempt in the era of big data. It is said to be user-centric. However, operation is a problem. Above all, the process of issuing API keys is surprising. For private companies it is issued immediately. However, it is only unclear here. There may be some reason. However, there is no promise of time period. Moreover, there are no instructions or explanations for them. They just dictate the user to wait with no promises. This is difficult to justify. Should we just hope for grace? It seems to be the old bad customs. It does not make sense at all.


This culture also naturally spreads to related private companies. Let's look at listed companies in Korea. A prime example is the culture  management shareholder oriented operation of the company.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it is faithful to the essence of a corpo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shareholders are treated as owners of a corporation. Therefore, it focuses on the interests of many ordinary minority shareholders. The company's high profits naturally lead to high dividends. In addition, this is reflected in the company value as it is in the market. On the other hand, Korea is different. It is not a majority shareholder who is the owner, but a minority management shareholder-centered. This means that an agent-oriented ecosystem prevail over the principal -oriented one.  This is a typical example of being inverted.


What is even more surprising is the financial authorities. They appear to be insensitive to this reality. So do ordinary people. This is a problem. Such abnormalities must not be left unattended. The helplessness of society as a whole is exposed. Taiwan overcame this. It moved towards a high dividend policy. This soon led to success. The reality of the Korean capital market is lamentable. As a result, the stock price is not upward sloping. it's just maintained within box shape which will be  a natural result because company value and shareholder value play separately.


This phenomenon is also evident in the operation of general social and public institutions. Take, for example,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Of course, there are many advantages. The opening of the restaurant for its staffs has its own significance. However, there are disappointments in operation. A typical example is a notice board. It is staff oriented. You will be surprised if you go to a place called the entrance. They tell that it is for employees. Library users are instructed to turn around and go to an 'unmarked' back place. They do not feel any fault in this regard.  The library is centered on the staff, who are just servants as agents. This is a phenomenon that spans the entire service, both online and offline. A total overhaul is required. Local government managed library looks not worse. This is because it is less bureaucratic.


This is even worse in the most conservative courts. Judicial consumers are simply small citizens who are 'ruled'. Where can judicial consumer sovereignty be found? In some courts, the elevators in the center of the building as well as the front door are for court staff. The judicial consumers is told to turn around and go through the back door. Those words are quite daunting. Everyone deserves to be angry at this abnormality. But everyone is used to this kind of atmosphere. That's why no one protests.


Also, it shows the extremes of abnormality in each pension system of general people and public officials. Paradoxically, the agent is full and the people are hungry. Nearby Japan responded quickly. It was a pension integration policy. But Korea just let it go. In the meantime, where are the people going?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it is the pinnacle of privilege wearing an armband. But there is a bigger problem. The fact that this issue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itself is even more serious. Even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the people seem to be behind.


Everyone shouts for the normalization of abnormalities in schools and politics. But the reality is different. Even the proponents seem to lack understanding of their allegation. It's just repetitive and superficial. Confusing. Normal and abnormal are often confused. A society centered on the minority in the establishment is not desirable. It must be changed now. However, social leaders (opinion leaders) are also silent. Are we moving towards a chaotic and dangerous society?


This inevitably produces harm. Let's take a bitter example. Nowadays everyone wants to be a civil servant. It is an anachronistic phenomeno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 need developers and creative and innovative entrepreneurs. But the reality is different. What does civil servant-oriented culture mean? It clearly shows the gap between abstract civil servants and real reality. Is the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 between monthly income and actual income? If so, where will the gap be filled? It's just a mysterious riddle. This also shows that Korean society is a public servant-centered society. In Greece, which suffered an economic crisis in the past, civil servants accounted for 40% of the total population. Will Korea do the same?


A dam is bound to collapse in a small hole. The soundness of a society can be destroyed from the moment of neglecting abnormality before corruption. Let's return to a society centered on the principal (the people) rather than the agent centered. Normalization of abnormalities must spread throughout society. However, this is never simply achieved. The sovereign, who is the owner, should dedicate themselves to making effort as an appropriate manager and supervisor. Above all, the ability to discriminate between normal and abnormal is paramount. This is not as easy as you might think. This is because a clear distinc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affairs and the maintenance of rational objectivity must be preconditions. Furthermore, let the agent innovate himself in the new year. Let's take off the heavy armbands of the past. And boldly change into a clean new outfit called as sincere public servants (Chungbok).

 

완장 찬 대리인이 주인행세 한다?


"용꼬리보다는 닭머리가 돼라." 많이 들어오던 이야기다. 긍정적 의미가 크다. 그만큼 적극적이라는 이야기다. 이는 세계가 놀라는 한국발전의 운동력이기도 하다. 반면 다른 생각도 든다. 어쩌면 이는 한국인 특유의 감투지향성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 아닐까? 나아가 의문이 든다. 왜 감투를 쓸려고 할까? 이는 감투의 양면성 때문이다.분명 봉사와 기여의 즐거움이 크다. 반면 그 이면의 완장 욕심도 만만찮다. 후자는 다소 위험하다.소수 특혜로 발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특권층 유지욕구도 가세될 수 있다.여기서 한국 부패 유형의 특징이 드러난다. 다름아닌 엘리트 카르텔이다.


이제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모든 것이 공개되고 공유된다. 과거의 숨겨진 사각지대도 설 곳이 없다. 자연스레 새로운 질서로 나아간다. 소수가 아닌 진정한 다수 중심사회로…. 탈집중 및 분권화가 큰 흐름이다. 때마침 블록체인이 그 초석을 마련한다. 무엇보다 대리인 제도가 화두다. 행정, 입법 그리고 사법 분야 모두 해당된다. 주객전도가 심각하다. 권위의 재조명이 필요하다.


먼저 국회부터 보자. 그야말로 정쟁다툼판이다. 국민은 안중에도 없다. 단기적·임시방편적 입법 역시 문제다. 비체계성, 비전문성 그리고 거시적 시각 결여 등 문제 투성이다. 그 폐해는 고스란히 주권자의 몫이다. 탁상 공론적 행정과 편의주의 역시 고질적 문제다. 나아가 사법의 관료화및 사법편의주의는 더 심각하다. 이는 다름아닌 각자 자기 정체성의 상실에서부터 시작된다. 공복으로의 봉사가 핵심이다. 그런데 마음은 콩밭에 있는 양상이다. 완장지향적이다. 이는 곤란하다. 그 부작용이 우려된다. 사회 전반에 비정상의 만연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대리인인 공직자는 변화돼야 한다. 더 이상 완장 찬 특혜집단이 아니다.예를 들어 보자. 정부기관의 정문은 국민에게 열려 있어야 한다. 그런데 현실은 다르다. 극단적으로 정문은 공직자 그리고 후문은 국민의 몫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은 용납되기 어렵다. 행동과 관습은 생각과 정신을 지배한다. 완장을 찬 기득권이 아닌 봉사자의 모습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공적 분야 전반에 관존민비(?)는 여전히 만연되어 있다. 최근 개설된 금감원의 오픈 다트(Open Dart)사이트를 보자. 빅데이터 시대에 나름 참신한 시도다. 이용자 중심으로 개편했다고는 한다. 그런데 운용이 문제다. 무엇보다 API 키의 발급과정이 놀랍다. 민간기업의 경우 이는 즉시 발급된다. 그러나 이곳에서는 불투명하기만 하다. 나름의 이유는 있을지 모른다. 그렇지만 기간도 기약이 없다. 더욱이 안내나 설명도 없다. 그저 기약없이 기다릴 수밖에 없다. 이는 정당화되기 어렵다. 그저 은혜만을 바라야 하는 것일까? 관존민비 구태 그 자체로 보인다. 주객전도의 비상식화의 전형이다.


이런 문화는 관련 민간기업에게도 확산된다. 한국의 상장기업을 보자. 소수 경영진중심의 문화가 그 단적인 예이다. 미국의 경우에는 주식회사의 본질에 충실하다. 원칙에 따라 주주를 주식회사의 주인으로 대접한다. 따라서 다수의 일반 소액주주의 이익에 집중한다. 회사의 높은 수익은 당연히 고배당으로 이어진다. 또한 이는 시장에서 그대로 회사가치에 반영된다. 이에 반해 한국은 다르다. 주인인 다수 주주가 아닌 소수의 경영진 주주중심이다. 본인보다 대리인 중심인 셈이다. 주객이 전도된 대표적인 예이다.


더 놀라운 점은 금융당국자다. 이런 현실에 무감각하다.아니 관심이 없다. 일반인도 방관하기는 마찬가지다.여기에 문제가 있다. 이런 비정상을 방치해서는 안 된다.사회전반의 무기력증이 드러난다.비정상의 만연에 그대로 길들여진 탓이다. 대만은 이를 극복했다. 고배당정책으로 나아간 것이다. 이는 곧 성공으로 이어졌다. 한국자본시장의 현실은 개탄스럽기만 하다. 그러다 보니 주가는 우상향이 아니다. 그저 박스권이다. 회사가치와 주주가치가 따로 노니 이는 당연한 결과다.


일반 사회 공적 기관의 운영에서도 이런 현상은 그대로 드러난다. 예를 들어 국립중앙도서관을 살펴보자.물론 장점도 많다. 구내식당의 개방 등은 나름 의미가 있다. 그런데 운영에서 아쉬움이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안내판 등이다. 직원 중심이다. 출입구라는 곳으로 가면 신기하다. 이곳은 직원용이라는 것이다. 도서관 이용자는 한참 돌아서 '표시 없는' 후미진 곳으로 가라는 안내다. 이에 대해 아무런 미안함도 없다. 도서관은 대리인인 직원 중심이다. 이는 분명 주객전도이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에 걸쳐 서비스 전반에 걸친 현상이다. 전면 개편이 필요하다. 지방정부의 도서관은 그나마 나은 편이다. 덜 관료화된 탓이다.


이런 현상은 가장 보수적인 법원의 경우 더 심각하다. 사법소비자는 그저 '군림당하는' 소시민일 뿐이다. 사법소비자 주권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일까? 일부 법원의 경우 건물 정문은 물론 건물 가운데에 있는 엘리베이터는 법원 직원용이다. 민원인은 돌아서 후진 뒷문으로 가라고 한다. 그 말도 상당히 위압적이다. 이런 비정상에 누구나 화가 날 만하다. 그런데 이런 분위기에 모두가 익숙하다. 그래서 인지 그 어느 누구도 항의하지 않는다.


그리고 보면 국민과 공무원의 각 연금제도에서 비정상의 극치를 보여준다. 역설적으로 대리인은 배부르고 국민은 배고픈 상황이다. 가까운 일본은 재빠르게 대응했다. 연금통합정책이다. 그런데 한국은 그냥 방치한다. 이 와중에 국민이 갈 곳은 어디인가? 완장을 찬 특권의 극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 더 큰 문제가 있다. 대선정국에서도 이 문제가 크게 주목받지 못하는 사실 자체가 더 심각하다. 대선에서도 국민은 뒷전인 모양이다.


누구나 학교나 정치 등에서 비정상의 정상화를 외친다. 그러나 정작 현실은 다르다. 주창자조차 스스로의 이해가 부족해 보인다. 그저 반복적이고 피상적이다. 혼란스럽다. 비정상과 정상이 헷갈릴 정도다. 소수 기득권층중심 사회는 곤란하다. 이제 변화돼야 한다. 그런데 정작 사회지도자(오피니언 리더)도 침묵한다. 혼란스럽고 위험한 사회로 나아가는 것일까?


이는 필연적으로 폐해를 양산한다. 비근한 예를 들어보자. 모두가 공무원이 되고자 한다.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시대착오적 현상이다. 개발자와 창조적이며 혁신적인 기업가가 필요하다. 그런데 현실은 다르다. 공무원 지향 문화는 무엇을 의미할까? 추상적 공무원과 실제 현실과의 괴리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통계상 월수입과 실제 수입과 현격한 괴리가 있는 것일까? 그렇다면 그 차이는 어디에서 메워지는 것일까? 그저 불가사의한 수수께끼일 따름이다. 또한 이는 한국사회가 그만큼 공무원 즉 대리인 중심사회임을 보여준다. 과거 경제위기를 겪은 그리스는 공무원이 전체국민의 40%였다고 한다. 한국도 그렇게 될 것인가?


둑은 조그마한 구멍에서 무너지기 마련이다. 사회의 건전성은 부패보다도 그 전에 비정상을 방치하는 순간부터 무너질 수 있다. 대리인 중심이 아닌 주인(국민) 중심의 사회로 환원하자. 비정상의 정상화가 사회 전반에 확산돼야 한다. 다만 이는 결코 그저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주인인 주권자는 스스로 적정한 관리 감독자로서의 수고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 무엇보다 정상과 비정상을 변별할 능력이 급선무다. 이는 생각보다 그리 쉽지 않다. 공과 사의 명확한 구분과 합리적 객관성의 유지가 전제돼야 하기 때문이다. 나아가 새해에는 대리인 역시 스스로 혁신하자. 그간의 무거운 완장을 벗어던지자. 그리고 충복이라는 깔끔한 새 옷으로 과감히 갈아입자.

  • 페이스북 보내기
  • 트위터 보내기
  • 네이버 블로그

조회수 : 623

Copyright ⓒ IP & Art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쓰기

이름 비밀번호
내용
스팸방지 (필수입력 - 영문, 숫자 입력)
★ 건강한 소통 공간이 될 수 있도록 지나친 비방글이나 욕설은 삼가해주시기 바랍니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