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IP Dispute between small company and big company

글 | 김승열 기자 2021-10-25 / 20:40

  • 기사목록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In intellectual property-related disputes, various related laws and related organizations are involved. Intellectual property-related laws will be the Patent Act,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the Fair Trade Act, the Act on Fair Subcontract Transactions (“Subcontract Transaction Act”), the Civil Act, the Criminal Act, and the Administrative Act, etc. Relevant authorities are also diverse. These include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the Copyright Commission, the police and prosecutors who are investigative agencies, and the courts. There may be conflicts of opinion between these agencies in the determination of specific disputed matters. Of course, it is the courts that ultimately declare the law. Therefore, ultimately, the judgment of the court will be the final authority. However,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dispute for each ca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different decisions may be made by each institution and conflict with each other due to different way of thinking or differences in expertise, etc.


Let's look for a example. A good example is the case of the Fair Trade Commissioner's decision regarding technology misappropriation in 2019. The specific fac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relation to the solar power business being promoted by a large domestic company, a business order was placed on a small and medium-sized company. However, in the process, large corporations are engaged in unfair practices, including unauthorized use of the technology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Accordingly, the Fair Trade Commission recognized that this act was an unfair technology stealing act under the Subcontracting Transactions Act, and decided to impose a fine and corrective measures accordingly.


Accordingly, th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filed criminal complaints and civil damages claims against the large enterprises. However, the police and prosecutors in charge of the investigation dismissed the charges due to insufficient evidence. Furthermore, in the case of a civil claim for damages, the court of first instance also dismissed the claim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 An appeal would be expected on this.


The problem is that in the same case, the judgments of each institution are different. Of course, we need to wait a little longer until the outcome of the appeal hearing is revealed. In any case, it can only be embarrassing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that have raised legal issues.


There is one common dispute in this case. Whether the technology is useful or not. In this regard, the Fair Trade Commission judged that there was a violation of the law stipulated in Article 12-3 Paragraph 3 (Technical Data Misuse) of the Subcontracting Transaction Act. By the way, in criminal proceedings, unlike the trial result of the Fair Trade Commission, the prosecutors did not prosecute the technology misuse due to insufficient evidence. However, there is something worth noting here. In case of violation of this clause, the Subcontract Transaction Act is subject to criminal punishment, whereas the violation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 which is almost identical to this clause, is not subject to criminal punishment. Accordingly, in the case of a large corporation's misappropriation of technical data, it is subject to criminal punishment if it violates the Subcontract Transactions Act, but it is not subject to criminal punishment if the applicable law is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In this case, unless it is a violation of the Copyright Act or the Patent Act, it is difficult to obtain criminal remedies. Of course, civil remedies are possible under this provision.)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these investigative agencies, even in separate civil proceedings, the court of first instance made a judgment that completely contradicted the contents of the decision of the Fair Trade Commission.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facts more closely and to clarify the facts about the possibility of misunderstanding the legal principl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progress of the judgment of the appeals court and other related cases (the court's judgment on whether the decision of the Fair Trade Commission is sustainable).


What is the reason for the different results for each institution? There may be several reasons. First, there is a room for a difference in the relative expertise of each institution. In particular, general investigative agencies may lack expertise in intellectual property law. It is true that such doubts arise even in the criminal investigation process. Of course, since it is a dispute in the field of intellectual property, it is said that a professional assistant investigator was put in to assist with the expertise. However, there is only one manpower.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insufficient to say that the high expertise is sufficiently objectively guaranteed. There are various laws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uch as patents, trademarks, designs, copyrights, and other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laws, and their contents are also complex. Therefore, it is clear that a high level of expertise is required. Therefore, to a certain extent it is natural to feel that it is natural for investigative agencies to have doubts about their expertise.

 

A bigger problem is that not only these investigative agencies, but also the courts which are somewhat controversial about their expertise in the field of intellectual property. This is because most of the lower court judges may possibly lack the knowledge and experience in intellectual property-related disputes. It is also difficult to deny that this case also raises questions about whether the Fair Trade Commission's judgment and the investigative agencies and courts' judgments were differen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Fair Trade Commission, its areas of expertise, such as the Fair Trade Act and the Subcontract Transaction Act, are closely linked with the Intellectual Property Act as if it may be two sides of the same coin. In addition, since it has been constantly involved in intellectual property disputes, they have accumulated its own expertise and experience. Of course, there is a room for objection. Of course, the expertise of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or the Copyright Commission will be high.



Another problem is the limitations of procedures and means for revealing facts in civil or criminal proceedings. Under the current law, investigation process will be strictly limited to investigative agencies. Therefore, if the investigative agency is unable to conduct a proper investigation due to various circumstances, there is no other way. However, as you may be aware,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etc., there is a private detective system. Therefore, even if the investigation by police, etc. is rather poor, there is still a possiblity for more detailed fact-finding with the aid of private detective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Korea, the investigation of all facts can only depend on the investigative agency.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rule out the possibility of the lac of the balanced investigation.


As in this case, there is always the possibility of illegal technology misuse of technology owned by SMEs by large corporations. This is because there is an imbalance of power between them. However, the problem is that due to the sophisticated charateristics of these disputes, it is difficult to deny the possibility of a insufficient investigation.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MEs may not be properly relieved.


As seen in this case, in particular, the embarrassing situation of conflicting judgments between the Fair Trade Commission, investigative agencies and even the courts should be duly resolv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systematic supplementary measures to properly control, adjust and manage it. Also, if possible, violation of Article 2, Paragraph 1 (k)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is only a civil matter. Therefore, there should be a room for claiming the necessity of criminal punishment for this. However, this is an issue that will be decided by further public discussion.

 

And if possible, it is necessary to respect the decisions of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or the Fair Trade Commission with high expertise in terms of various aspects including the fact-finding investigation process, etc. And it may be considered to effectively get aid from these institutions in a more systematic way. In particular, in disputes between SMEs and large corporations, their expertise should be further strengthen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putes due to the imbalance of power. between them. This is also directly related to the credibility of the (quasi) judicial systems. Above all, more systemic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in terms of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relief for SME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지식재산 관련 분쟁에는 다양한 관계 법령과 관련 기관들이 개입된다. 특허법 등 지식재산권 관계 제반 법률, 부정경쟁방지법, 공정거래법,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하도급거래법”), 민법, 형법, 행정법 등을 살펴보아야 한다. 관련 기관 역시 다양하다. 특허청, 저작권위원회, 수사기관인 경찰과 검찰 그리고 법원 등이 있다. 특정 분쟁 사안에 대한 판단에 있어서 이들 기관 상호 견해 대립이 있을 수 있다. 물론 법을 최종적으로 선언하는 기관은 법원이다. 따라서 궁극적으로는 법원의 판단이 최종 기준이 될 수 밖에 없다. 다만 사안별 다툼 내용에 따라서는 그 적용되는 법률이 다르거나 전문성 등의 차이 등 때문에 기관 별로 각기 다른 결정이 나와 상호 충돌될 여지는 있다. 


비근한 예를 찾아보자. 2019년의 공정 거래위원의 기술 유용 관련 심결 사안이 좋은 예이다. 그 구체적 사실관계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국내 대기업이 추진하고 있는 태양광 사업과 관련하여 중소 기업에게 사업발주를 하였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대기업은 해당 중소기업의 기술을 무단 사용하는 것을 비롯한 불공정행위를 하였다. 이에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러한 행위가 하도급 거래법상의 부당한 기술탈취행위임 등을 인정하여 이에 따른 과징금 및 시정조치 등을 결정한 바 있었다. 


이에 해당 중소기업은 대기업을 상대로 형사고소 및 민사 손해배상 청구를 제기하였다. 그런데 수사를 담당한 경찰과 검찰은 증거불충분으로 불기소 처분을 하였다. 나아가 민사적으로 제기된 손해배상 청구 사건에 있어서도 1심 법원은 해당 중소기업의 청구를 기각하는 판결을 내렸다. 이에 항소심의 기대된다.


문제는 이와 같이 동일한 사안에서 각 기관 별로 그 판단이 다르게 나온 점이다. 물론 항소심의 결과가 나올 때까지 좀 더 지켜볼 필요는 있다. 어쨌든 법적 문제를 제기한 중소 기업의 입장에서는 당혹스러울 수 밖에 없다. 


이 사안에서 공통적인 분쟁내용은 하나다. 기술유용 여부이다. 이점에 관하여 공정거래위원회는 하도급 거래법 제12조의 3 제3항(기술자료 유용행위)에서 규정한 법 위반이 있었다고 판단을 하였다. 그런데 형사 절차에서 경. 검찰이 공정거래위원회의 심결과는 달리 기술유용행위에 대하여 증거불충분으로 불기소한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할 부분이 있다. 동 조항의 위반의 경우 하도급 거래법은 형사 처벌 대상인 반면에 이 조항과 거의 동일한 내용인 부정경쟁방지법 카목에 관한 위반 부분의 경우는 달리 형사처벌 대상이 아니다. 따라서 이에 따라 대기업의 기술자료 유용행위의 경우에 하도급 거래법 위반인 경우 형사처벌 대상이 되나 적용법조가 부정경쟁방지법이 되면 형사 처벌 대상이 아니다. ( 이 경우는 저작권법이나 특허법상의 위반이 아니면 형사적인 구제는 어렵다. 물론 동 조항에 따른 민사적 구제는 가능하다.) 

 이러한 수사기관의 판단에 따라 별도의 민사절차에서도 1심 법원은 공정거래위원회의 심결내용과는 완전히 배치되는 판단을 하였다. 이 부분에 대하여는 좀 더 분명한 사실관계 조사 및 법리 오해 가능성 등에 대한 사실 규명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부분은 향후 항소심 판단 및 기타 관련 사건( 공정거래 위원회의 심결의 위법성 여부에 대한 법원의 판단)의 진행 상황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각 기관 별로 그 판정 결과가 다르게 나오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여러 이유가 있을 수 있으나 먼저 각 기관의 상대적 전문성 차이라고 볼 여지도 있다. 특히 일반 수사기관의 경우에 지식재산 법에 대한 전문성이 아무래도 부족하다. 이 건 형사 수사절차에서도 그런 의구심이 드는 것이 사실이다. 물론 지식재산 분야의 분쟁이므로 이의 전문성을 보좌하는 전문보좌수사관이 투입되었다고는 한다. 그러나 그 인력도 단지 1인에 불과하다. 이런 사정하에서 그 전문성이 충분히 객관적으로 담보되었다고 보기에는 역부족이다. 지식재산권관련 법률은 특허, 상표, 디자인, 저작권 기타 부정경쟁방지법 등 다양한 법률이 있고 그 내용 역시 복잡하다. 따라서 고도의 전문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현재 수사기관 등에 있어서 그 전문성에 대한 의구심은 당연하다고 느낄 정도임은 분명한 사실이다. 

 


더 큰 문제는 이들 수사 기관 뿐만이 아니라 법원 역시 지식재산 분야에 그 전문성에 대하여 다소 논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대다수 하급심의 판사 들의 경우에 지식재산권 관련 분쟁에서 그 지식과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번 사건도 그런 차원에서 공정거래위원회의 판단과 수사기관 및 법원의 판단이 다르게 된 하나의 원인으로 작용한 것이 아닐까 하는 의문이 드는 것 역시 부인하기 어렵다. 이에 반하여 공정거래위원회의 경우는 자신들의 전문영역인 공정거래법 및 하도급 거래법 등이 지식재산권법과는 동전의 양면과 같이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다. 또한 끊임없이 지식재산 분쟁 사안에 관여하여 왔기 때문에 나름의 전문성과 경험이 축척되어 왔다고 볼 여지가 적지 않다. 물론 반론의 여지도 있다. 물론 특허청이나 저작권위원회의 전문성은 높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또 다른 문제점은 민사나 형사 절차 등에 있어서 사실관계를 밝히는 절차와 수단의 한계성이다. 현행법상 수사 권한은 전적으로 수사기관에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수사기관이 여러 가지 사정으로 인하여 제대로 된 수사를 하지 못하게 되면 달리 방법이 없다. 그러나 아시다시피 미국의 경우 등은 사립탐정 제도가 있다. 따라서 다소 부실한 수사가 있더라도 사립탐정 등의 도움으로 사실관계 조사를 좀 더 치밀하게 할 여지가 남아 있다. 이에 반하여 한국의 경우는 모든 사실관계의 규명을 오로지 수사기관에 따라 좌우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특히 대기업과 중소기업 사이의 현실적 힘의 불균형에 따른 부실조사 등의 가능성을 전적으로 배제하기 어렵다.  


이 사안과 같이 대기업의 중소기업 보유 기술에 대한 위법한 기술유용 가능성은 상존한다. 이들 상호 간에는 힘의 불균형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들 분쟁이 가지는 특수성과 전문성 때문에 부실 수사 가능성 역시 쉽게 부인하기 어렵다. 행여 그렇게 되면 달리 중소기업이 제대로 구제될 방안이 제약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번 사안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특히 공정거래위원회와 수사기관 나아가 법원 사이의 판단이 상호 상반되는 당혹스러운 상황은 해소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를 제대로 통제.조정.관리할 수 있는 제도적 보완책이 필요하다. 또한 가능하면 부정경쟁방지법 제2조 제 1한 카목 위반은 민사 사안에 그친다. 따라서 이를 형사적으로 처벌할 필요성을 주장할 여지도 있다. 다만 이는 좀더 공론화하여 결정될 문제이기는 하다. 

 그리고 가능하면 즉 수사 과정에서 전문성이 높은 특허청이나 공정거래위원회 등의 결정을 존중하거나 이들 기관으로부터 도움을 받는 것이 좀 더 제도화적으로 보완될 필요가 있다. 특히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의 분쟁에 있어서는 힘의 불균형에 따른 현실적 논란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더욱더 그 전문성 등이 보강되어야 한다. 이는 곧 (준) 사법기관의 신뢰성과도 직결된다. 무엇보다도 중소기업에 대한 구제에서 그 실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의 제도적 개선이 요구된다. 




 

 

  • 페이스북 보내기
  • 트위터 보내기
  • 네이버 블로그

조회수 : 212

Copyright ⓒ IP & Art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쓰기

이름 비밀번호
내용
스팸방지 (필수입력 - 영문, 숫자 입력)
★ 건강한 소통 공간이 될 수 있도록 지나친 비방글이나 욕설은 삼가해주시기 바랍니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