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은 대표적인 예술 창작이다. 따라서 디지털 시대에도 인간이 그나마 나름 역할을 할 수 있는 분야이다. 그런데 일본 등의 경우에 인공지능이 작곡 등으로 하여 호평을 받거나 인기를 얻고 있는 것이 사살이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 의외로 음악이 논리적이고 체계적이다. 모든 코드등은 일정한 법칙이 있다. 그 정도가 아주 엄격하여 마치 법률의 규정과도 비슷하다.
외국의 경우에 법대교수가 음악작곡을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대표적인 경우가 크라아티아의 전 대통령이 법대교수이면서 작곡가였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런 측면에서 보면 의외로 인공지능이 음악이나 특히 법률에 친화적으로 보인다. 실제 법률분야에서는 형평성 등과 공정성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는 인공지능이 의외로 각광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디지털 시대에 외로운 삶을 치유하기 위하여서 음악의 중요성은 어느 때 보다도 높아진다. 지금 중장년층의 경우는 악기 등에 그리 친화적이지 아니하다. 특히 작곡 등 분야에서는 거의 익숙하지 않다.
그러나 중장년층의 음악에 대한 로망은 적지 않다. 그런측면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음악과의 접근가능성을 높히기를 기대해 본다.
이제 디지털시대의 삶의 질은 인공지능을 어떨게 활용하느냐에 달려 있다. 비근한 예로 홈페이지는 컴퓨터를 전혀 몰라도 시스템화된 서비스회사가 많아서 쉽게 만들 수 있고 그 비용도 모두 합쳐서 1년에 10만원도 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지금은 앱 등 (준)인공지능을 어덯게 활용하느냐에 달려 있다. 짧은 시간에 모든 능력을 다 구비할 수도 없고 그럴 필요도 없다.
이제 음악 등 예술활동에 있어서도 인공지능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달린 시대에 살고 있다는 점을 정확하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나아가 이를 잘 활용하여 자신의 삶의 질을 높힐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