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사회에 접어들게 됨에 따라 실버산업의 중요성이 점차 배가되고 있다. 건강관련 산업, 만성성인병 등 치료기기 산업, 노년층에 특화된 여행산업, 노년층을 위하여 취미와 재취업 관련 교육사업, 실버타운 등이 바로 그 예이다.
고령화시대에 실버산업은 복지 후생사업이기도 하지만 향후 미래 유망산업이기도 하다. 현재의 고령층은 과거와는 다르다. 이들은 많은 인구층을 형성하고 또한 구매력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실버산업은 국가 사회복지 산업이기도 하지만 가성비가 좋은 미래유망산업이다. 범정부 차원의 관심과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그리고 글로벌 시장으로의 진출 역시 보장되어 있다. 거의 모든 국가에서 동일한 실버산업 육성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기존의 사업에서 온라인화를 하고 나아가 그 대상층을 고령층으로 한다면 미래의 유망한 실버산업이 되는 셈이다. 앞으로 새로 태어나는 신생아나 젊은층보다는 구매력이 있는 노년 층이 증가하므로 이들을 상대로한 산업이 자연스럽게 그 비중을 높이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온라인 교육사업에서도 노년층의 취미와 재취업을 위한 교육사업에서 그 잠재력과 성장성은 가히 놀랄만하다. 나아가 가족에 의한 부모의 봉양이 거의 불가능하게 됨에 따라 실버 타운산업은 당장 시급한 현안과제이다. 평균수명이 증대함에 따라 건강에 대한 관심과 나아가 만성질병에 대한 치료부분 역시 모두의 관심사이다. 그리고 이들에 많은 돈을 투자함에 아무런 주저함이 없을 수밖에 없다. 그리고 노년층의 무료함을 달래기 위한 노년층에 특화된 여행사업도 그 전망이 높아 보인다.